[ESG경영칼럼]최봉혁 칼럼니스트(한국구매조달학회이사)
하이퍼튜브, 미래 교통이 바꾸는 산업지형과 ESG의 교차점
한반도 철도 지형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과거 수도권 중심의 단선형 철도망은 이제 전국을 균형 있게 연결하는 정교한 망 구조로 확장되고 있으며, 그 정점에는 하이퍼튜브가 있다. 2050년 완공을 목표로 하는 한국형 하이퍼튜브(HTX)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가 아닌, 국가공간구조와 산업지형을 전환시키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까지의 철도망 발전 과정을 보면, 2000년대까지는 일반철도 중심의 연결로 제한적이었고, 2010년대 들어 고속철도가 도입되며 이동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됐다. 하지만 철도 접근성의 불균형은 여전히 해소되지 못했고, 지방 중소도시와 수도권 사이의 간극은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장벽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2023년 이후 고속철도망이 청주, 원주, 포항, 전주 등 지역 중심 도시까지 확대되며 ‘전국 2시간대 생활권’이 현실화되고 있다. 도시 간 네트워크는 이제 일자형이 아닌 거미줄 형태로 진화 중이다.
출처 : 더이에스지(theesg)뉴스(https://www.esgre100.com)
![[ESG경영칼럼]하이퍼튜브, 미래 교통이 바꾸는 산업지형과 ESG의 교차점](https://cdn.durumis.com/image/o2di61su-1ip8c5qq2?width=660)
[ESG경영칼럼]하이퍼튜브, 미래 교통이 바꾸는 산업지형과 ESG의 교차점
댓글0